|
경순왕릉
|
경기도
|
사찰/유적지/성
|
사적 제244호. 경기 연천군 장남면(長南面) 고량포리(高良浦里) 소재. 지정면적 3,967m2. 높이 3m. 능 앞에는 단조로운 형식의 비가 있고, 그 전면에 신라경순왕지릉(新羅敬順王之陵) 이라 새겨져 있으며, 후면....
|
|
|
금산 보리암
|
경상남도
|
사찰/유적지/성
|
683년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로 산 이름을 보광산, 초당 이름을 보광사라고 했다. 훗날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 기도를 하고 조선 왕조를 열었다는데, 그 감사의 뜻으로 166....
|
|
|
구룡사
|
강원도
|
사찰/유적지/성
|
신라 문무왕 6년 의상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대웅전 자리에 9마리의 용이 살고 있는 연못을 메우고 사찰을 창건하여 九龍寺라 하였으나, 조선중기 거북바위 설화와 관련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습니다.
대웅전(무형문화재 ....
|
|
|
민속자연사 박물관
|
제주도
|
사찰/유적지/성
|
1984년에 개관된 제주 민속 자연사 박물관은 제주 고유의 민속
유물과 동식물, 지질및 해양 식물 에 관한 자연사 자료를
전시하고 있는 곳으로 자연사 전시실, 민속 전시실, 특별 전시실,
시청각실로 나뉘어 3천....
|
|
|
수원성
|
경기도
|
사찰/유적지/성
|
우리나라의 성곽문화의 백미로 꼽히는 곳으로 수원 시내를 둘러싸고 있는
수원성,또는 화성이라 말할 수 있다. 국내는 물론 외국 성곽의 장점만을
살렸고 또한 세계 최초의 계획된 신도시라는 점이 자랑할 만하다.
수....
|
|
|
봉암사 백운대
|
경상북도
|
사찰/유적지/성
|
봉암사내에 위치하여 일명 옥석대라고 함. 울창한 숲, 맑은 계곡, 은은한 목탁소리와 청아한 풍경소리가 한데 어우러져 잠시 속세의 고뇌도 잊고 신선이라도 된 듯 끝없는 평온함에 젖어드는 곳이며 금강산 만폭동에 버금 가는....
|
|
|
덕주산성
|
충청북도
|
사찰/유적지/성
|
월악산 남쪽 자락 일대는 남과 북을 잇는 도로의 길목으로 예로부터 전략적, 군사적 요충지였다. 신라 경순왕의 제 1공주 덕주공주가 이곳 월악산에 머물면서 지세를 이용하여 이 산에 성을 쌓고 훗날을 기약하였다. 그 후 ....
|
|
|
운현궁
|
서울특별시
|
사찰/유적지/성
|
서울특별시 사적 제257호로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위치한 운현궁은 조선조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잠저(潛邸)이며 흥선대원군의 사저이며, 한국근대사의 유적 중에서 대원군의 정치활동의 근거지로서 유서 깊은 곳이다.....
|
|
|
충열사-임경업
|
충청북도
|
사찰/유적지/성
|
충주시 서남쪽 4km 지점에 있는 단월동에 자리한 충렬사는 조선 인조때의 명장 임경업장군(1594~1646)의 위패를 모신 사당입니다.
임경업장군은 선조 27년(1594) 판서 임정의 후손인 임황의 아들로 충주....
|
|
|
강릉시 오죽헌
|
강원도
|
사찰/유적지/성
|
오죽헌은 강릉시에서 북으로 4km떨어진 경포대의 이웃에 오죽(검은 대나무) 으로 둘러싸여 있는 집이다.
한국이 낳은 위대한 학자이며 정치가인 율곡 이이 선생과 어머니 신사임당이 태어난 곳으로 집안에는 율곡기념관....
|
|
|
법주사 팔상전
|
충청북도
|
사찰/유적지/성
|
법주사내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을 꼽으라면 단연 팔상전(국보 제55호)을 들 수 있습니다. 팔상전이라는 이름만 보아서는 무슨 전각이겠거니 하고 생각하지만 팔상전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5층 목탑입니다. ....
|
|
|
보문산공원
|
대전광역시
|
사찰/유적지/성
|
중구는 대전광영시의 심장부로 보문산, 방화산 등이 있다. 보문산은 보물이 묻혀있다 해서 보물산으로 부르다가 보문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. 보문산의 대표적인 문화유적은 보문산성(시기념물 제10호)이다.....
|
|
|
회사소개 ㅣ 광고문의 ㅣ 이용안내 ㅣ 이메일무단수집거부 ㅣ 중계회원가입문의 ㅣ 고객센터 ㅣ 유용한사이트 ㅣ 협력사이트
회사소개 ㅣ 광고문의 ㅣ 이용안내 ㅣ
이메일무단수집거부 ㅣ 고객센터 ㅣ
유용한사이트 ㅣ 협력사이트
|
|
|
|
| | |